중국문학의 꽃-한시의 멋(33)-강촌(江村)
강촌(江村) 두보
淸江一曲抱村流 (청강일곡포촌류) 맑은 강 한 굽이 마을을 안고 흐르고
長夏江村事事幽 (장하강촌사사유) 긴 여름 강마을에는 만사가 한가롭네
自去自來梁上燕 (자거자래양상연) 절로 갔다 절로 오는 것은 들보 위의 제비요
相親相近水中鷗 (상친상근수중구) 서로 친하고 서로 가까이 하는 것은 물 위의 갈매기
老妻畵紙爲碁局 (노처화지위기국) 늙은 아내는 종이에 줄을 그어 바둑판을 만들고
稚子敲針作釣鈎 (치자고침작조구) 어린 아들은 바늘을 두드려 낚싯바늘을 만드네
多病所須唯藥物 (다병소수유약물) 병약한 몸에 필요한 것이라곤 그저 약물 뿐이니
微軀此外更何求 (미구차외경하구) 하찮은 이내 몸이 이 밖에 또 무엇을 바라겠는가
율시의 완성자 두보.
이 시는 두보가 성도의 완화계(浣花溪) 초당에 살 때 지은 시로서 가족과 함께 평온한 나날을 보내는 시인의 안온한 심경이 잘 드러난 시입니다.
첫째 연은 강마을에서의 모든 일이 한가롭고 그윽함을 표현함으로써 다음 두 연의 네 구를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제 3구와 제 5구는 촌(村)과 관계가 있고, 제 4구와 제 6구는 강(江)과 관계를 맺고 있으며, 마지막 연에서는 시인의 자적하는 심사를 밝힘으로써 시상을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두보가 시성의 칭호를 얻게 된 것은 성당 시기까지 성행하고 있던 중국시가의 형식에서 율시라는 규격에 맞는 시의 틀을 완성하였기 때문일 것입니다.
같은 시기 이백의 자유분방한 고체시, 악부시의 그늘에서 꾸준히 오언율시, 칠언율시의 형식을 다듬어 왔기 때문에 이 후 당시는 율시라는 확고부동한 시 형식을 갖추게 되었고, 이 형식의 시는 과거제도에 채용되어 인재를 선발하는 기준이 되었기 때문에 한시의 전형적인 형식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앞서 두보가 지은 시 춘망(春望)에서 오언율시 정격의 모범적인 시 형식을 살펴보았습니다만 이 시 강촌(江村)은 칠언율시 정격인 평기식 수구압운의 모범형식으로 낭송 자체만으로도 리듬의 조화를 느낄 수가 있습니다.
강촌 시에 나타난 평측보를 통해서 칠언율시 정격의 구성형식을 살펴보기로 합니다.
淸江一曲抱村流 평평평측측평평
長夏江村事事幽 평측평평측측평
自去自來梁上燕 측측측평평측측
相親相近水中鷗 평평평측측평평
老妻畵紙爲碁局 측평평측평평측
稚子敲針作釣鈎 측측평평평측평
多病所須唯藥物 측측측평평측측
微軀此外更何求 평평평측측평평
한시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조금씩 넓혀 보고자 두보의 시를 통하여 오언율시, 칠언율시의 모범적인 형식의 시를 통하여 한시 창작에 대한 구성형식을 소개해 보았습니다.